실기과목명
|
주요항목
|
세부항목
|
세세항목
|
자동차정비
실무
|
1. 충전장치 정비
|
1. 충전장치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충전장치를
이해하고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충전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충전장치의
세부점검 목록을 확인하여 고장
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사용하여 고장원인을 분석할 수
있다.
|
5. 정비지침서에 따라 벨트장력을
규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.
|
2. 충전장치 수리하기
|
1. 충전장치회로도에 따라 전기의
흐름을 파악하여 수리할 수
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리가능여부
를 판단하여 수리가 필요한 부품
을 확인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기가능여부
를 판단하여 수리가 필요한 부품
을 확인할 수 있다.
|
3. 충전장치 교환하기
|
1. 충전장치의 점검 ·진단결과에
따라 부품 교환 여부를 결정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거 ·조립
절차 계획을 수립하여 장비 ·
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충전장치를
교환할 수 있다.
|
4. 충전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활용하여 충전장치를 검사하고
양부 판정을 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차를
시운전하고 충전장치를 재점검
하여 정비결과를 확인할 수
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
충전장치의 작동상태와 성능검사
를 수행할 수 있다.
|
2. 시동장치 정비
|
1. 시동장치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시동장치의
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시동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시동장치의
세부점검 목록을 확인하여 고장
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4. 시동장치에 대한 지식을 바탕
으로 진단 장비를 사용하여
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2. 시동장치 수리하기
|
1. 시동장치 회로도에 따라 전기의
흐름을 파악하여 수리할 수
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수리가능
여부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
인할 수 있다.
|
3. 시동장치 진단결과에 따라 시동
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3. 시동장치 교환하기
|
1. 시동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
진단결과에 따라 부품 교환 여부
를 판단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거 ·조립
절차 계획을 수립하여 제조사의
장비 ·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시동장치를
교활할 수 있다.
|
4. 시동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시동장치를
검사하고 양 ·부 판정을
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자동차를
시운전하고 시동장치를 재점검
하여 정비결과를 확인할 수
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리 후
시동장치의 작동상태와 성능검사
를 절차대로 검사할 수 있다.
|
3. 편의장치 정비
|
1. 편의장치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
점검 · 진단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
회로를 점검하여 고장원인을
분석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사용 하여 편의장치의 고장원인
을 판단할 수 있다.
|
2. 편의장치 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
선택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
규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조정후 정상
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3. 편의장치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회로
도를 분석하여 고장요소를
수리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
수리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를
수리하여 정상으로 작동되는지
확인할 수 있다.
|
4. 편의장치 교환하기
|
1. 부품들의 점검 ·진단 결과에
따라 교환 부품을 선정할 수
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의
탈거 · 조립절차 계획을
수립할 수 있다.
|
3. 편의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 ·
진단 결과에 따라 부품을
교환할 수 있다.
|
5. 편의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른 작업결과에
대하여 진단장비를 이용하여
편의장치를 검사 하고 이상유무
를 판단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편의장치의
성능에 대한 검사를 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검사 후 진단
수리 절차를 계획할 수 있다.
|
4. 등화장치 정비
|
1. 등화장치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등화장치를
점검 ·진단할 수 있다.
|
2. 등화장치, 회로도에 따라 점검,
진단하여 고장요소를 파악할
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사용하여 고장원인을 파악할
수 있다.
|
2. 등화장치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등화장치
진단 · 점검장비를 선택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등화장치를
규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등화장치
회로를 분석하여 고장요소를
수리할 수 있다.
|
3. 등화장치 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사용하여 교환여부를 판단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거 ·조립
절차계획을 수립하여 장비 ·
공구를 준비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관련 법규 ·
지식과 안전절차를 준수하여
분해,조립 순서에 맞게 교환
할 수 있다.
|
4. 등화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측정기 ·
육안으로 등화장치를 검사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측정기 ·
육안으로 등화장치 양 ·부를
판정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등화장치의
검사를 통해 정상 작동 상태를
확인할 수 있다.
|
5. 엔진 본체 정비
|
1. 엔진본체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엔진본체
장치 점검시 안전작업 절차에
따라 점검 ·진단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엔진본체
장치의 세부점검목록을
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3. 제조사에 따라 엔진본체 구조 ·
장치를 파악하여 고장진단과
점검을 할 수 있다.
|
4. 차종의 진단 설명서에 따라
진단장비를 활용하여 고장요소
를 점검할 수 있다.
|
5. 제조사별 엔진 종류에 따라
규정값을 기준으로 점검 ·진단
을 할 수 있다.
|
2. 엔진본체 관련 부품
조정하기
|
1. 제조사별 엔진종류의 규정값에
따라 엔진을 조정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활용하여 규정값에 맞게 조정할
수 있다.
|
3. 엔진본체장비 부품의 조정을 위
해 관련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.
|
3. 엔진본체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른 수리 가능
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엔진 본체
장치의 구성을 이해하야
규정값에 맞게 수리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수리 후 정상
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4. 엔진본체 관련부품
교환하기
|
1. 제조사별 엔진 종류에 따라 점검
방법에 맞추어 관련 부품을 교환
할 수 있다.
|
2. 실린더헤드 등 단위부품인 경우
분해 · 조립 계획을 수립하고
관련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른 엔진본체장치
관련부품의 점검 ·진단 결과에
따라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5. 엔진본체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
엔진본체 장치의 작동상태에
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
엔진본체 장치의 성능에 대한
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.
|
3. 엔진종류에 따라 시운전 ·
재점검을 통한 규정값을 검사
하여 확인 ·판단할 수 있다.
|
6. 윤활 장치 정비
|
1. 윤활장치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윤활장치의 점검 시 안전 작업
절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.
|
2. 윤활장치의 구조 ·특징에 따라
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관련 부품을
규정값에 맞게 점검할 수 있다.
|
4. 윤활장치시스템을 확인하고 진단
장비를 사용하여 고장원인을
분석할 수 있다.
|
2. 윤활장치 수리하기
|
1. 고장증상에 따라 진단 장비를
활용 하여 수리여부를 결정할
수 있다.
|
2. 진단내용에 따라 윤활장치를
수리할 수 있다.
|
3. 제어장치 파악 ·회로도 분석에
따라 관련 배선을 수리할 수
있다.
|
3. 윤활장치 교환하기
|
1. 윤활장치의 분해 ·조립 계획을
수립하고 장비 ·공구를
준비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윤활장치
관련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3. 환경폐기물 처리규정에 의거
하여 폐유 ·관련 부품을
처리할 수 있다.
|
4. 윤활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, 수리가 완료돤 윤활장치
를 규정값에 맞게 검사할
수 있다.
|
2. 오일의 누유 관련 장치를
검사할 수 있다.
|
3. 검사 후 윤활장치 이상 유무를
판단할 수 있다.
|
7. 연료 장치 정비
|
1. 연료장치 점검 ·진단
하기
|
1. 연료장치의 점검 시 안전작업
절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연료장치의
세부점검목록을 확인하여
고장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사용하여 제어장치의 고장원인
을 분석할 수 있다.
|
4. 연료장치를 진단하여 수리,
교환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.
|
2. 연료장치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연료장치
관련 부품을 수리할 수 있다.
|
2. 연료장치 회로도를 파악할
수 있다.
|
3. 연료장치의 진단 분석 결과에
따라 연료장치를 수리할
수 있다.
|
3. 연료장치 교환하기
|
1. 연료장치의 구조를 파악하여
분해,조립 순서에 맞게 관련
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2. 연료장치 관련 부품을 교환하여
정상 작동 상태를 파악할
수 있다.
|
3.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교환
작업을 할 수 있다.
|
4. 연료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진단장비를
사용하여 연료장치를 검사
할 수 있다.
|
2. 연료장치의 정상작동 여부를
판단할 수 있다.
|
3. 연료장치의 누유 검사를
수행할 수 있다.
|
4. 작업 후 연료장치 성능을
검사할 수 있다.
|
8. 흡 ·배기 장치 정비
|
1. 흡 ·배기장치 점검 ·
진단하기
|
1. 흡 ·배기장치의 점검 시 안전
작업 절차에 따라 수행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흡 ·배기장
치 구조, 제어장치를 파악하고
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관련 장비를
활용하여 점검 ·진단을 할 수
있다.
|
2.흡 ·배기장치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흡 ·배기장
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
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수리 부품
을 확인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흡 ·배기
장치를 수리할 수 있다.
|
3. 흡 ·배기장치 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흡 ·배기
장치 관련 부품의 교환여부를
결정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분해 ·조립
계획을 수립하여 장비 ·공구를
준비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배기 장치
관련 부품을 분해 ·조립 순서에
맞게 교환할 수 있다.
|
4. 흡 ·배기장치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진단
장비를 이용하여 고장요소를 판독
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
흡 ·배기장치의 누설 검사를
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
흡 ·배기장치의 성능 검사를
할 수 있다.
|
9. 클러치수동변속기정비
|
1. 클러치 ·수동변속기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를 파악하고 관련
장치의 작동상태를
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를 점검 및 진단
할 수 있다.
|
3. 점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의 세부점검목록을
확인하여 고장원인을
파악할 수 있다.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의 고장진단 장비를
사용하여 고장원인을
분석할 수 있다.
|
2. 클러치 ·수동변속기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의 조정 목록을 확인
하여 조정내용을 파악할
수 있다.
|
2. 차종에 따를 조정부품오일의
규정치를 확인하여 규정값으로
조정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 관련 부품의 조정을
위해 관련 장비를 선택하여
사용할 수 있다.
|
3. 클러치 ·수동변속기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
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
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수동변속기
를 수리할 수 있다.
|
4. 클러치 ·수동변속기
교환하기
|
1. 클러치 ·수동변속기 관련 부품
들의 점검 ·진단결과에 따라
교환 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순서에
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할
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의 교환 목록을 확인
하여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다.
|
5. 클러치 ·수동변속기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의 세부점검목록을
확인하여 . 클러치 ·수동변속기
를 검사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. 클러치 ·
수동변속기 작업 후 작동상태를
검사할 수 있다.
|
10. 드라이브라인 정비
|
1. 드라이브라인 점검 ·
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드라이브
라인의 작동상태를 확인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드라이브
라인을 점검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따라 드라이브라인
의 세부점검목록을 확인하여
고장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드라이브라인
의 고장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.
|
2. 드라이브라인 조정하기
|
1. 차종에 따라 조정 부품 ·규정치
를 확인하고 규정값으로 조정할
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른 부품의 조정
을 위해 관련 장비를 선택하여
사용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차동장치
관련 부품의 조정을 위해 관련
장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
있다.
|
3. 드라이브라인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
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
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드라이브라인
을 수리할 수 있다.
|
4. 드라브라인 교환하기
|
1. 드라이브라인 부품들의 점검 ·
진단결과에 따라 교환 부품을
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계획
을 수립하여 관련된 지식을 바탕
으로 장비 및 공구를 준비할
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드라이브라인
의 교환목록을 확인하여 교환
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|
5. 드라이브라인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점검 목록을
확인하여 드라이브라인을 검사
할 수 있다.
|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
드라이브라인 작동상태 ·소음
여부, 오일누유, 장치성능
을 검사할 수 있다.
|
11. 휠 ·타이어 ·얼라인 먼트 정비
|
1.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를 파악하고 관련 장치
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를 점검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의 세부점검목록을
확인하여 고장 원인을 진단
할 수 있다.
|
2.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
트 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타이어의
공기압을 측정하여 규정값으로
조정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얼라인
먼트 조정요소 ·규정치를 확인
하여 규정값으로 조정할
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
의 평형상태를 확인 후 측정장비
를 활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.
|
4. 정비지침서에 따라 얼라인먼트의
장비를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.
|
3. 휠 ·타이어 ·얼라인
먼트 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 가능
여부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인
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
먼트에 관련된 진단내용을
수리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
먼트 수리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할
수 있다.
|
4.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
트 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 교환을 위해 필요
장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계획
을 수립하여 장비 및 공구를
준비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의 부품목록을 확인하
여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|
5.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
트 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관련
장비를 검사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고장진단
장비를 사용하여 검사할
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휠 ·타이어 ·얼라인먼트를 검사할 수 있다.
|
12. 유압식 제동장치 정비
|
1. 유압식 제동장치
점검 ·진단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를
파악하고 관련 장치의 작동상태
를 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의
세부 점검목록을 확인하여 고장
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.
|
2. 유압식 제동장치
조정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의
조정 목록을 확인하여 조정내용
을 파악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조정부품의
규정값을 확인하여 조정할 수
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
관련 부품의 조정을 위해 관련
장비 및 공구를 선택하여
사용할 수 있다.
|
3. 유압식 제동장치
수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교환 ·수리 가능여부
를 판단하여 수리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를
점검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를
수리할 수 있다.
|
4. 유압식 제동장치
교환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탈부착 계획
을 수립하여 장비 및 공구를
준비할 수 있다.
|
2. 제동장치 관련 부품들의 점검 ·
진단 결과에 따라 제동장치
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
장치의 교환 목록을 확인하여
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|
5. 유압식 제동장치
검사하기
|
1. 정비지침서에 따라 작업 후 제동
장치의 작동 상태를 검사할 수
있다.
|
2. 정비지침서에 따라 고장진단
장비를 사용하여 검사할 수
있다.
|
3. 정비지침서에 따라 제동장치를
검사할 수 있다.
|